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공유

💊 피브레이트 vs 스타틴중성지방과 LDL을 겨냥한 지질강하제의 선택 가이드

by dodamiab 2025. 5. 25.
728x90
SMALL

🧬 1. 지질강하제란 무엇인가?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은 혈중 지질(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이상으로, 죽상동맥경화증, 심근경색,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이러한 이상지질혈증 치료에는 다음 두 약물 계열이 가장 널리 쓰입니다:

  • 스타틴(Statins): LDL(나쁜 콜레스테롤) 강하 중심
  • 피브레이트(Fibrates): 중성지방(TG) 강하 및 HDL(좋은 콜레스테롤) 증가 중심

⚙️ 2. 작용기전 비교

 

항목 스타틴 (Statin) 피브레이트 (Fibrate)
표적 효소 HMG-CoA 환원효소 억제 PPAR-α 수용체 활성화
주 작용 간의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 → LDL 수용체 증가 → LDL 제거 중성지방 분해 촉진, HDL 생성 증가
효과 방향 LDL ↓↓, TG ↓, HDL ↑(약간) TG ↓↓, HDL ↑, LDL (소폭 감소 또는 무변화)
항염증 작용 강함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입증) 제한적 항염 작용
 

 

🔍 핵심 요약
스타틴은 LDL 콜레스테롤에 강력, 피브레이트는 중성지방과 HDL 조절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 3. 임상 효과 및 주요 적응증


 

항목 스타틴 피브레이트
LDL-C 감소율 20~60% 10~15%
TG 감소율 7~30% 20~50%
HDL-C 증가율 5~10% 10~20%
심혈관질환 1차/2차 예방 근거 강함 제한적
고중성지방 췌장염 예방 보조적 1차 약물
 

✅ 스타틴 적응증

  • 고LDL 콜레스테롤혈증
  • 관상동맥질환(CAD), 뇌졸중 병력
  • 당뇨병 + 심혈관 위험요소 있는 경우

✅ 피브레이트 적응증

  • 고중성지방혈증 (TG ≥ 200mg/dL 이상)
  • 낮은 HDL 콜레스테롤
  • 스타틴으로 조절되지 않는 혼합형 이상지질혈증

💊 4. 주요 약물 비교


 

계열 주요 성분 복용 용량 특이사항
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등 5~80mg/day 고강도부터 저강도 선택 가능
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젬피브로질, 베자피브레이트 200~400mg/day 식후 복용 권장, 신장기능 고려
 

⚠️ 5. 부작용 및 복용 시 주의점

📌 스타틴 부작용

  • 근육통, 근육약화 (횡문근융해증 드물게 발생)
  • 간 기능 이상 (ALT, AST 상승)
  • 혈당 상승 (장기 복용 시 당뇨병 발생 위험 ↑)
  • 위장 장애

📌 피브레이트 부작용

  • 소화기 불편감 (복부 팽만, 설사)
  • 담석 형성 가능성
  • 근육병증 (스타틴과 병용 시 위험 증가)
  • 크레아티닌 상승 → 신장기능 모니터링 필요

💡 스타틴과 피브레이트를 병용 시 근육 독성(횡문근융해증) 위험이 증가합니다.
젬피브로질(Gemfibrozil)은 특히 스타틴 병용 금기입니다.
페노피브레이트(Fenofibrate)는 상대적으로 병용이 허용되나, 간/신장 기능 정기 검사가 필수입니다.


🧠 6. 병용 요법이 필요한 경우

스타틴으로 LDL은 조절되지만 TG와 HDL이 비정상인 경우,
다음과 같은 병용 요법이 고려됩니다:

  • 스타틴 + 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중심)
  • 스타틴 + 에제티미브: 흡수 억제제와의 병용으로 LDL 추가 조절
  • 스타틴 + 오메가-3 지방산: TG 조절 목적

단, 근육효소(CK)와 간기능(LFT) 주기적 검사 필수!


✅ 7. 요약 비교표


 

구분 스타틴 (Statin) 피브레이트 (Fibrate)
주 작용 LDL 강하 TG 강하 + HDL 증가
사용 대상 고LDL 환자, 심혈관 고위험군 고TG, 저HDL, 대사증후군
대표 약물 로수바스타틴, 아토르바스타틴 페노피브레이트, 젬피브로질
효과 심혈관 질환 예방 입증 중성지방 감소 효과 우수
병용 요법 피브레이트, 에제티미브, 오메가3 스타틴과 병용 시 주의
부작용 근육통, 간수치 상승, 당 조절 이상 위장장애, 근육통, 신장기능 저하
 

🏥 8. 어떤 약을 선택해야 할까?

 

환자 유형추천  치료 방향
LDL만 높은 고지혈증 환자 스타틴 단독
TG 300mg/dL 이상, HDL 낮음 피브레이트 중심 or 병용요법
당뇨병 + 이상지질혈증 스타틴 + (TG 높다면 피브레이트 고려)
스타틴 불내성 환자 피브레이트 or PCSK9 억제제, 에제티미브 대안 고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