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MALL
1️⃣ 정의 및 병태생리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은 골격근 세포(횡문근)가 급격하게 손상되어 세포 내 내용물(미오글로빈, 크레아틴키나아제, 칼륨 등)이 혈중으로 대량 유출되는 급성 근육 손상 상태입니다.이로 인해 다음과 같은 위험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 전해질 불균형(고칼륨혈증 등)
- 심장 부정맥
- 전신 염증 반응(Sepsis-like 상태)
📌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 질환입니다.
2️⃣ 원인: 왜 생기나?
횡문근융해증은 크게 외인성(외상, 운동, 약물 등)과 내인성(대사장애, 유전질환)으로 나뉩니다.
🔸 주요 원인 분류
원인 | 종류예시 |
과격한 운동 | 마라톤, 크로스핏, 군사훈련 등 갑작스럽고 고강도의 운동 |
외상 및 압궤손상 | 교통사고, 건물 붕괴, 장시간 눌림 |
약물 | 스타틴(고지혈증약), 알코올, 코카인, 항바이러스제, 항정신병약 등 |
대사성 질환 | 저칼륨혈증, 고체온증, 선천성 근육 대사 질환 |
감염 | 인플루엔자, COVID-19, 말라리아 등 일부 바이러스·세균 감염 |
전기쇼크, 뱀물림 | 근육조직 파괴 유도 |
⚠️ 스타틴(Statin) 복용자는 근육통, 소변 이상 시 반드시 의사 상담 필요!
3️⃣ 증상: 어떻게 나타나는가?
횡문근융해증은 다음과 같은 고전적 3대 증상을 가집니다:
- 근육통 (특히 어깨, 허벅지, 엉덩이 등 대근육군)
- 근육 약화 (움직임 둔화, 힘 빠짐)
- 적갈색 또는 콜라색 소변 (미오글로빈뇨)
💡 기타 증상
- 전신 피로감, 발열, 오심, 구토
- 소변량 감소 (무뇨증)
- 저혈압, 혼수 등 (심한 경우)
🧪 하지만 전체 환자의 약 50%는 비특이적 증상만 보이므로 조기 인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진단: 어떻게 확인할까?
진단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기본 검사
검사 항목 |
설명 |
혈중 CK (Creatine Kinase) | 1000~5000 IU/L 이상이면 의심, 5000 IU/L 이상이면 진단 가능성 ↑ |
혈청 미오글로빈 | 근육 손상 시 증가, 소변으로 배출되어 콜라색 소변 유발 |
소변검사 | 혈뇨 양성반응 but RBC 음성 → 미오글로빈 뇨의 특징 |
혈액 전해질 검사 | 고칼륨혈증, 고인산혈증, 저칼슘혈증 발생 확인 |
신장 기능 검사 (Cr, BUN) | 급성신부전 동반 여부 확인 |
🔬 CK 수치는 발병 후 12~24시간 내에 최고치에 도달하며, 회복 시 서서히 감소합니다.
5️⃣ 치료: 어떻게 대처하나?
횡문근융해증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수액치료가 핵심입니다.
💧 주요 치료 전략
- 수액공급 (IV hydration)
- 0.9% 생리식염수 대량 투여 (하루 3~6L)
- 신장 관류 촉진 → 미오글로빈 배출 유도
- 전해질 교정
- 고칼륨혈증: 칼슘, 인슐린+포도당, 바이카보네이트 등 사용
- 저칼슘혈증: 경련 등 증상 동반 시 보충
- 산-염기 균형 조절
- 심한 산증 시 NaHCO₃ 투여 고려
- 이뇨제 (선택적 사용)
- 만니톨, 푸로세미드 등으로 이뇨 유도 → 근육 대사물질 제거
- 신장 대체요법 (투석)
- 급성 신부전, 무뇨증, 고칼륨 교정 실패 시 실시
6️⃣ 예후 및 합병증
🚑 합병증
- 급성 신부전 (환자의 약 30~40%에서 발생)
- 고칼륨혈증 유발 부정맥
- 심정지
- 전신염증반응(SIRS)
- DIC(파종성 혈관내 응고)
📈 예후
- 조기 치료 시 대부분 회복 가능
- 신장 대체요법 필요 없는 경우 후유증 적음
- 합병증 발생 시 중환자실 치료 필요 가능성 ↑
🛡️ 7. 예방 수칙
✔ 일반인 대상
- 고강도 운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 필수
- 운동 중 수분 공급 철저
- 무리한 운동 반복 피하기
- 염분 섭취 제한된 사람은 의료진 상담 후 운동
✔ 약물 복용자
- 스타틴 복용 중 근육통, 소변색 변화 시 즉시 병원 내원
- 고령자, 신장기능 저하자는 복약관리 더 엄격히
- 다른 근육 독성 약물과 병용 피하기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요약 |
정의 | 골격근 세포 파괴로 미오글로빈, 전해질이 혈중 유출되는 상태 |
원인 | 고강도 운동, 약물(특히 스타틴), 외상, 감염 등 |
증상 | 근육통, 콜라색 소변, 무기력, 소변량 감소 |
진단 | CK 수치↑, 미오글로빈 뇨, 전해질 이상, 신장기능 검사 |
치료 | 수액 공급, 전해질 조절, 투석 요법 |
예방 | 운동 강도 관리, 스타틴 복용 모니터링, 수분섭취 철저 |
728x90
'건강정보공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요독증(Uremia)이란?몸에 쌓인 노폐물이 당신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1) | 2025.05.28 |
---|---|
💡 급성 신부전(AKI)이란?신장이 갑자기 제 기능을 멈출 때 생기는 위기 신호 (0) | 2025.05.27 |
💊 피브레이트 vs 스타틴중성지방과 LDL을 겨냥한 지질강하제의 선택 가이드 (0) | 2025.05.25 |
💊 스타틴(Statin)의 모든 것LDL 콜레스테롤을 조절하고 심장을 지키는 가장 강력한 약물 (1) | 2025.05.24 |
💊 피브레이트(Fibrate) 완전 정리중성지방을 잡고 HDL을 올리는 지질강하제의 핵심 역할 (1) | 2025.05.23 |